HTML 개요


HTML 이라는 이야기를 많이들 들어보셨을 것 같으며 이 곳을 방문하신 분들이라면 아마도 HTML 이 무엇인지 궁금하거나 공부를 하기 위해 방문을 하였다는 생각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이 html 이란 웹을 통하여 우리가 바라보는 세계를 만들어가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 라고 이야기를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이 html 은 어떤 바탕을 기준으로 되어 있는 걸까요 바로 웹 이라는 곳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WWW(웍드 와이드 웹) 이라고 이야기를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html 은 어떤 기준으로 만들어지는지 사람들은 어떻게 접근을 하여 확인을 하는건지를 한번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웹의 구성요소를 알아가는 게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웹에는 3가지의 요소가 있습니다. URL 그리고 HTTP 와 HTML 이렇게 세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 져 있습니다. 우리가 지금도 이 3가지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알게 모르게 웹을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가 있죠 지금 보고 있는 이화면도 3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웹 페이지 라고 이야기를 할 수가 있습니다. 

먼저 URL 입니다. 아마도 이건 다들 알고 계시리라 생각을 합니다. 웹의 주소라고도 이야기를 하죠 정보의 자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기법 이라고 이야기를 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HTTP 가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이 주소로 접근을 하기위한 통신규약 이라고 볼 수가 있어요 요즘은 https 를 많이들 사용을 하죠 조금 더 암호화된 규약으로 안정적인 사이트를 위해 많이들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가 HTML 입니다. 이는 정보와 자원 사이를 오가기 위한 하이퍼텍스트 라고 이야기를 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Html 을 풀어보면 HyperText Markup Language 의 약자로 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 마크업 랭귀지 라고 볼 수가 있는거죠 


인터넷 상에서 제목 타이틀과 문단 그리고 머리글 꼬리글 과 표 등을 이미지와 함께 자유롭게 작성을 할 수가 있는 부분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현재 Html 은 Html5 까지 버전업이 되어 정말 편리하게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에 조금 더 동적인 부분을 가미한다고 하면 데이터베이스를 연동을 한 웹 프로그래밍 을 이야기 할 수가 있습니다. 웹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도 이 html 은 필수이기 때문에 꼭 알아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HTML 개요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프로그래밍을 한다 이 말은 무엇을 이야기 하는 것일까 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건 컴퓨터 언어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러면 컴퓨터 언어를 한다 고 한다면 이 것도 분야가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을 합니다. 




그 중 저는 웹 프로그래밍 을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프로그램에는 정말 많은 종류들이 있습니다. 일반 컴파일된 프로그래밍 부터 웹 프로그래밍 까지 정말 많은 언어들이 있는데 컴공과가 아니라면 많은 분들은 아마도 이 웹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있을 것 같습니다. 



소프트웨어를 만든다는 건 정말 근본적인 기술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웹 프로그래밍은 컴퓨터를 좀 하는 분들이라면 조금만 노력을 하면 Html 정도는 쉽게 할 수가 있을 것이라 생각을 합니다. 


Html 은 웹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적인 언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한번 별도의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html 의 정의를 알아가는 것도 정말 중요하니 말이에요 


오늘은 웹 프로그래밍에 대한 개념만 이야기를 할 것이니 이런 디테일한 부분 까지는 이야기 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이런 html 을 어느정도 하면 이제 동적인 프로그래밍을 하고 싶어 집니다. 




항상 동일한 내용만을 보여주는 html 과는 다른 동적인 언어라는 건 데이터베이스 등을 사용을 하여 양 방향 프로그래밍을 만들어 낼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간단한 예를 들자면 게시판 등을 만들어 놓았다 하면 내가 댓글을 저장을 하면 그 글이 보여지게 되는거죠 일반 html 은 고정된 문서만 볼 수가 있다면 이런 동적인 언어들은 이렇게 실 시간으로 변화하는 모습들을 담을 수가 있다는 부분입니다. 



아마도 여기에 작성이 되는 이 티스토리 의 경우도 동일한 개념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동적인 프로그래밍으로 만들어진 플렛폼을 티스토리 블로그 라고 이야기 합니다. 


이런 부분들은 html 에서 조금 더 깊이있는 기술을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asp, php, jsp 이런 언어들을 조금 더 접하면 이제 웹 언어를 만들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만들어진 문서 들은 어디에 저장이 될까요 저장공간이 필요하겠죠 이런 저장공간을 다른말로 Data Base 라고 합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을 하고 상황에 맞게 불러오게 하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웹 언어는 html + (jsp, asp, php) +Databael 이 조합으로 구성이 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웹 언어를 공부를 한다는 건 이 조합을 잘 알아간 다고 볼 수가 있을 것 같네요 


저의 경우는 jsp, asp, php 를 모두다 사용을 해 보았지만 php 를 좋아합니다. asp 의 경우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실행이 되는 부분이라 리눅스나 유닉스 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다는 부분이 아쉽고 jsp 는 크게 사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이 되는 php 를 좋아합니다. 



아마도 블로그를 관리하다 보면 많이 접하는 설치형 블로그들을 만나볼 수가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그누보드, 제로보드 등 이런 설치형 블로그들이 모두  php 로 만들어져 있다는 것도 php 를 공부하면 좋은 부분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설치형으로 제공이 되는 이런 홈페이지를 나의 입 맛에 맞게 수정을 할 수가 있다는 것도 정말 좋은 부분이라 생각이 들거든요 오늘은 간단하게 이렇게 웹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나누어 보았습니다. 앞으로 조금 더 디테일 한 부분까지 한번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 Recent posts